1. 기존 유형
-정부기관 사칭형
-자녀 및 지인 사칭형
-대출빙자형
"신용등급을 올리기 위해서는 거래내역이 많아야 한다. 알려주는 계좌로 돈을 송금하면 거래내역을 인정해주겠다."
"당장 기존대출금을 상환해야만 우리 쪽에서 심사가 가능하니 불러주는 계좌로 송금하라."
-스미싱
-문자메시지 링크 클릭 유도 (택배사 사칭, 주소지 확인 등)
2. 신종 사기수법 사례
-질병관리청 사칭하여 개인정보, 금융정보 탈취
-소독비 사전결제를 위해 신분증, 카드 앞뒷면 사진을 찍어 보내라고 함. 추후 소독비는 지원된다고 속임.
- 입금 안내메시지 내 '앱으로 연결' 버튼 <- 클릭시 악성 앱 설치됨.
- 친구로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돈을 송금했다는 카카오톡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가 발송됨.
-실제 은행 발송 입금안내 메시지와 유사한 포멧으로 발송.
-'앱으로 연결' 버튼을 누르면 악성앱 자동설치됨.
*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발송된 카톡, 문자는 절대 클릭 금지.
-투자사기
'■기타 (정보 스크랩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대비용품에 무엇이 있을까? (0) | 2025.01.06 |
---|---|
[경제]내수부진? 주로 내수가 일어나는 산업은? (4) | 2025.01.02 |
알약 정보 확인하는 방법: 약학정보원 (0) | 2024.12.26 |
에그인헬(Egg in Hell) 샥슈카는 어디 요리? (0) | 2024.12.26 |
자기소개서 - 스타크 (STARC) 기법 (0)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