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규모 부설주차장 (자주식)은 규모가 8대 이하인 경우에 적용한다.
한 필지 안에서 주차구획 위치가 떨어져있다고 하더라도, 총 주차대수 규모 최대 대수 기준이 있는 셈이다.
2) 차로를 이용하는 주차... 5대 이하.
제11조(부설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
⑤ 부설주차장의 총주차대수 규모가 8대 이하인 자주식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기준은 제1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에 따른다. <개정 2012. 7. 2., 2013. 1. 25., 2016. 4. 12.>
1. 차로의 너비: 2.5미터 이상
다만, 주차단위구획과 접하여 있는 차로의 너비는 주차형식에 따라 다음 표에 따른 기준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너비 12미터 미만의 도로에 접하여 있는 부설주차장은 그 도로를 차로로 하여 주차단위구획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로의 너비는 도로를 포함하여 6미터 이상(평행주차형식인 경우에는 도로를 포함하여 4미터 이상)으로 하며, 도로의 포함 범위는 중앙선까지로 하되, 중앙선이 없는 경우에는 도로 반대쪽 경계선까지로 한다.
3.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있는 12미터 이상의 도로에 접하여 있고 주차대수가 5대 이하인 부설주차장은 그 주차장의 이용에 지장이 없는 경우만 그 도로를 차로로 하여 직각주차형식으로 주차단위구획을 배치할 수 있다.
4. 주차대수 5대 이하의 주차단위구획은 차로를 기준으로 하여 세로로 2대까지 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5. 출입구의 너비는 3미터 이상.
다만, 막다른 도로에 접하여 있는 부설주차장으로서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차량의 소통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2.5미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6. 보행인의 통행로가 필요한 경우에는 시설물과 주차단위구획 사이에 0.5미터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⑥ 제1항 및 제5항에 따라 도로를 차로로 하여 설치한 부설주차장의 경우 도로와 주차구획선 사이에는 담장 등 주차장의 이용을 곤란하게 하는 장애물을 설치할 수 없다. <개정 2012. 7. 2.>
[전문개정 2010. 10. 29.]
'■일 관련 > 도시,건축,부동산,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법 제2조 정의 [시행 2024. 6. 27.] (3) | 2025.01.02 |
---|---|
용어설명: 타설 망보기 (0) | 2024.12.26 |
(공사현장용어)노바시 *のばし (伸ばし) (0) | 2024.11.08 |
qgis_지적도 PNU 코드 (0) | 2024.10.28 |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차이 (3) | 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