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또는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 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게 보통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 해외에서 기채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기준금리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는
보통 베이시스 포인트(bp, basis point)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0.5%의 금리격차를 50bp로 표기하고 1%는 100bp로 표시된다.
출처: 경제금융용어 700선
In finance, a spread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wo prices, rates, or yield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is the bid-ask spread, which refers to the gap between the bid (from buyers) and the ask (from sellers) prices of a security or asset.
'■일 관련 > 도시,건축,부동산,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성장률 (0) | 2022.05.17 |
---|---|
bp 베이시스 포인트 (0) | 2022.05.16 |
초광역권 계획 [도시계획] (0) | 2022.04.07 |
은행의 BIS 기준과 위험가중자산 (0) | 2022.01.18 |
토지거래허가지역 지정 (0) | 202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