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소재.

의사결정자의 결정을 꺾을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가?
권위로 꺾을 수는 없으니. 논리적으로 설득하여, 법규와 여러 제반 상황들을 들어 설득할 수 있는 자 누구인가.

의사결정자는 우호성 agreeableness가 떨어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경향이다.

누가 아주 격한 반대(특히 나보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일 때)에도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을 수 있을까?





어떤 날은 오늘의 내가 쓸모없고 완전 실패로 Total Failure느껴질 수 있다. 나도 그렇게 때때로 느끼곤 한다. Been there, done that.
그러나 그런 생각은 정말 정말 도움이 안 된다.
그런 감정은, 바닥을 치고 올라서 정말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집중할 기회를 주는 에너지이다. 분노는 정말 에너지이다.

다른사람과 비교하지 말고, 오직 과거의 나와 오늘의 나, 내일 내가 되고자 하는 나를 비교하라.


지금 이렇게 실수를 했다 한들, 여기에 이렇게 뭉게고 시간이나 죽이고 있을 것인가, 아니면 더 나아지는 것을 추구할 것인가.

어느 시점의 나와 지금의 나를 비교할까?
일상적인 일들을 수행해내는것, 친구들과 약속을 잡고, 제 시간에 약속장소에 도착하며, 해야 할 일을 놓치지 않고 하는 것. 물건을 잃어버리지 않는 것 등.
어떤 일이 벌어져서 힘들다는 인식 없이 살아가는 것이 그런 인식을 때때로 할 수밖에 없었던 과거의 언젠가와 다르다.

내가 정말 달라진 것일까?
달라진점으로는
이메일함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유지하기 시작했다. 새로 쌓인 10개 이메일을 망설임 없이 정리할 수 있다.
캘린더를 더 자주보게 되었다... 캘린더를 보다 보면 언제 무엇을 하고, 그 전에는 어떤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이번에 잘 실천해낸 작은 일은 오늘 당장, 내일 조금 더 편한 곳에서 시작하게 해준다.

작은 좋은 습관들은 나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매일 조금 더 유리한 시작점을 제공한다.
이렇게, 긍정적인 나선 positive spiral 을 따라 상승했다.

그렇게 익숙해지고 나서는, 어떻게 이런 고지(높은 곳)에 이른 것인지에 대해 까맣게 잊어버릴 수 있다.
하지만 다시 되돌아보면, 그런 다각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된 결과는 그러한 작은 습관들이 쌓아온 것이다.
I ask myself what brought the positive change in my life. Then, I realize that the small habits I’ve sticked to have built up the transformation.

그러니까, 그런 작은 습관들을 하나씩 잃어버리면 그 성이 돌 하나씩 하나씩 무너지기 쉽다.

그런 작은 습관, 작은 루틴이 중요하다.

작은 좋은 습관들은 축복이다.
정말로 축복이다.
다른 사람이 도와주지 못하는 변화를 이끌어낸다.



개인적인 독후감입니다.

소설 ‘좁은문’은 20대 초반 제롬이 두살 위 친척누나 알리사에게 빠져드는 순간을 펼쳐 보여주면서 시작되는데, 제롬과 알리사는 둘 다 초월적으로 신성하게 느껴지는 서로에게 걸맞는 상대가 되기를 갈망한다. 그 열망에 사로잡혀 자신의 존재를 불태운다.

1. 제롬 -
제롬의 내면은 자유롭고 섬세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세계이다. 미숙하지만 격동하는 열정으로 생명력이 넘치는 제롬. 감정의 폭풍들, 시절의 노래…
그에게는 내면세계가 현실보다 더욱 실제적이기 때문일까?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의 소리를 듣고 행동해주기를 기다리는 듯한 인상을 준다. 알리사와의 관계가 오해로 얽혀 미궁으로 빠져갈 때, 그는 자신이 경멸하는 오지랖 이모가 자기 대신에 어떤 역할을 해주기를 간절히 바라기도 한다.

2. 쥴리에트 -
쥴리에트는 알리사나 제롬과는 다르다. 슬퍼해도 곧 털고 일어나서 그냥 잘 살 것 같다. 별로 걱정이 되지 않는 인물이다.
쥴리에트는 제롬을 좋아하지만 제롬의 눈에도 마음에도 그녀가 머물 자리는 없다. 알리사에게 푹 빠져 내면세계에 깊이 머물고 있는 제롬은 쥴리에트와 몸이 함께 있는 시간에도 함께 있는 것이 아니다.
쥴리에트에 대한 제롬의 인식이 바뀌는 부분이 흥미롭다. 제롬의 친구는 쥴리에트를 흠모하는데, 얼치기같은 그 친구가 묘사하는 쥴리에트는 제롬이 알고 있는 쥴리에트와 전혀 다르다. 그 쥴리에트가 내가 아는 이 쥴리에트와 동일인물인가 싶을 정도로. 이 에피소드는 작가가 누군가에게 무관심했다가 전혀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되어 사뭇 놀랐던 경험에서 비롯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상대에게 이해를 받는 일은 많은 부분이 운에 달려있는 것 같다. 사람의 인식은 ‘목표’에 따라 초점을 맞추어 바라볼 대상과 삭제할 배경을 결정한다. 전에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타인을 더 잘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제롬의 사례를 보아, 외향적이든 내향적이든, 자신과 달라 이해하기 힘든 반대성향의 사람을 볼 때 편견을 배제할 수 있는지 여부가 소통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는 것 같다.

3. 알리사, 독실한 믿음과 상처의 사이 그 어딘가 -
정확히는 기억나지 않지만, 알리사는 제롬에게 ‘각자가 하나님께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서로가 떨어져 있어야 한다’ 고 말한다. 그녀는 고통에 몸부림치며 점차 시들어간다. 그녀가 어떤 신앙적인 이유를 내세울지라도, 그녀가 엄마에게 받은 상처가 그녀를 사로잡고 있다고 느껴진다. 알리사의 신앙적인 생각이 어디서 왔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너무 안타깝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알리사는 묶여있다.
알리사는 내면세계에 갖힌 듯하다.
나는 제목의 좁은문을 알리사의 삶으로 인정하고 싶지 않다. 그 문은 좁은문이라기보다는 닫힌문 같다. 그녀가 조금만 더 자기자신을 사랑하고 위해줄 수는 없었을까?

4. 내면세계와 현실세계 그 사이 -
고통 속에 있는 두 연인, 알리사와 제롬을 보며, 사랑에 대해 생각한다. 감정이 얼마나 지속가능한 것인가 견고한 것인가. 실재하는가. 질문하게 된다.
초반부에서는 제롬의 내면세계가 물질세계보다 커보인다. 그런데 이는 제롬이 알리사와 소통할 수 있는 상황이었기에 가능했던 것 같다. 알리사와 오래 떨어져 있는 시간은 극복할 수 없는 단절을 가져오고 만다. 결국, 현실세계가 내면세계에 동력을 공급하고 있었던 것 같다.

- 물질세계의 한계에 타협하고 잘 적응한 것으로 보이는 쥴리에트,
- 그 사이를 오가는 중간자 제롬,
- 결국 하늘로 돌아간 알리사.

인간은 피어났다가 시드는 꽃처럼 생명을 다하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물질적인 실체, 몸을 가지고 있어서 아름답다. 이상이 가진 완벽함과 거룩함이 주는 쾌락은 강렬하나, 연약하고 무거운 몸으로 흐르는 시간을 타고 사는 현실세계 없이는 유리되어 떠돌 뿐, 실체가 없이 느껴진다... 이상과 현실이 어우러져 조화로운 화음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눌러주세요

대략 15분 내외로 준비된 영상들이다.

백석대학교 심리학 박사 김현옥 교수님이 쉬운 설명으로 심리학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이다.
지금까지 성격에 대한 강의, 가족에 대한 강의, 우울증, 공황장애 대한 강의 등 꽤 많은 양이 업로드되어있다.

처음에는 친구의 추천으로 찾아보게 되었다. 나는 오가는 대중교통 안에서나 심심할 때 듣곤 했는데, 친구는 노트에 필기하면서 집중해서 듣는다고 했다.
같은 컨텐츠라도 얼만큼 집중해서 듣는지에 따라 소화흡수율이 다르겠다.

특히 성격 관련 영상들을 추천한다. 성격(편집증, 자기애성 성격장애, 의존성 등) 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 주변에 있는 사람이 떠오르거나 내 속에 불편했던 감정들을 비추어보고 객관화할 수 있다.

https://youtu.be/t4YW-H4cMq0


동산교회 목사님은 결혼, 연애 관련 강의를 유투브에 올려놓으셨다.

교인에 아닌 바깥 사람이 이를 볼거라고 크게 기대하지 않으셨을 것이다.
좋은 컨텐츠를 찾아 샅샅이 뒤지다보니 발견했다.

링크 결혼건축가 1
https://youtu.be/A74Xv6kkrhM

잘 찾아보면 결혼건축가 2도 있다.

결혼의 목적은 영적인 연합이다.
그러면 우리의 필요는 누가 채워주나?

인간의 인간관계에 대한 필요를 대략
1. 안정감
2. 중요감
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아마 책 내용인듯)
일반적으로 안정감은 여자에게, 중요감은 남자에게 더 핵심적이다.
그러나 이를 불완전한 인간끼리 완전히 공급하고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강의이다.
좋은 내용을 공부해서 가르쳐주는 목사님께 감사하다.


+ Recent posts